불명 D0000094
- 사건 번호
- FP059-02
- 성명 (한글)
- 불명
- 피해자 유형
- 북한 내 실종자
- 실종 관련 설명
- 가택수색 후 차로 실어갔음. 가택 수색 당시 한국 스마트폰 4대와 성영화가 들어있는 USB 발견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6월 12일
북한 피해자
ㅇ?? D0000093
- 사건 번호
- FP059-01
- 성명 (한글)
- ㅇ??
- 피해자 유형
- 북한 내 실종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대낮에 사복을 입은 사람들이 집으로 와서 차로 데려간 뒤 행불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6월 12일
북한 피해자
하스이케 가오루 J0000019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가시와자키 도서관에서 하스이케 유키코 씨를 만나야 한다고 한 뒤 실종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22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하스이케 유키코 J0000018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직장 상사에게 하스이케 가오루 씨를 만나 커피를 마신 후 돌아오겠다고 말한 뒤 실종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22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하라 다다아키 J0000016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북한 스파이 '신광순' 에 의한 납치 이후 생존 여부 확인 안 됨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8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마쓰키 가오루 J0000015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마쓰키 씨는 석사 학위를 위해 스페인으로 이주했으나, 요도호 그룹의 두 여성 멤버인 와카바야시 사키코와 모리 요리코에게 연락받은 뒤 실종됐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8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아리모토 게이코 J0000014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아리모토 씨는 런던에서 학업을 마친 뒤, 요도호 일본항공 351 납치범 중 한 명의 전처인 야오 메구미와 접촉했다. 야오 씨는 아리모토 씨에게 일자리를 제안함과 동시에 또 다른 납치범인 우오모토 기미히로 씨에게 그녀를 넘겨 북송되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6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이시오카 도오루 J0000013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이시오카 씨는 유럽 체류 중 갑작스럽게 연락이 끊겼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6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마스모토 루미코 J0000012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마스모토 씨와 이치카와 슈이치 씨가 해변에 일몰을 보러 간다고 말한 뒤 실종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6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이치카와 슈이치 J0000011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이치카와 씨와 마스모토 루미코 씨가 해변에 일몰을 보러 간다고 말한 뒤 실종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6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소가 미요시 J0000009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소가 씨와 그녀의 딸이 쇼핑하러 간다고 나간 뒤 실종. 그녀의 딸인 소가 히토미 씨는 2002년에 일본으로 귀국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5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다나카 미노루 J0000008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일본에서 유럽으로 출국한 뒤 실종. 일본에 살고 있던 공범이 다나카 씨를 속여서 해외로 데려갔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5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구메 유타카 J0000007
- 피해자 유형
- 일본인 납북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증거에 따르면 구메 씨는 북한 당국의 지시를 받은 공범에 의해 해변으로 유인되었다. 이 공범은 구메 씨를 북한 요원들에게 넘겼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4월 15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0000028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납치된 후 평양에서 돌아온 레바논 여성들은 레바논 언론에 자신들은 프랑스 여성 3명, 이탈리아 여성 3명, 네덜란드 여성 2명을 포함한 28명의 외국인 여성들과 함께 수용소에 감금 당했었다고 말했다. 이 여성들 중에는 유럽과 중동 출신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0000027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납치된 후 평양에서 돌아온 레바논 여성들은 레바논 언론에 자신들은 프랑스 여성 3명, 이탈리아 여성 3명, 네덜란드 여성 2명을 포함한 28명의 외국인 여성들과 함께 수용소에 감금 당했었다고 말했다. 이 여성들 중에는 유럽과 중동 출신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0000026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납치된 후 평양에서 돌아온 레바논 여성들은 레바논 언론에 자신들은 프랑스 여성 3명, 이탈리아 여성 3명, 네덜란드 여성 2명을 포함한 28명의 외국인 여성들과 함께 수용소에 감금 당했었다고 말했다. 이 여성들 중에는 유럽과 중동 출신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0000025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납치된 후 평양에서 돌아온 레바논 여성들은 레바논 언론에 자신들은 프랑스 여성 3명, 이탈리아 여성 3명, 네덜란드 여성 2명을 포함한 28명의 외국인 여성들과 함께 수용소에 감금 당했었다고 말했다. 이 여성들 중에는 유럽과 중동 출신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P0000024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납치된 후 평양에서 돌아온 레바논 여성들은 레바논 언론에 자신들은 프랑스 여성 3명, 이탈리아 여성 3명, 네덜란드 여성 2명을 포함한 28명의 외국인 여성들과 함께 수용소에 감금 당했었다고 말했다. 이 여성들 중에는 유럽과 중동 출신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P0000023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납치된 후 평양에서 돌아온 레바논 여성들은 레바논 언론에 자신들은 프랑스 여성 3명, 이탈리아 여성 3명, 네덜란드 여성 2명을 포함한 28명의 외국인 여성들과 함께 수용소에 감금 당했었다고 말했다. 이 여성들 중에는 유럽과 중동 출신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P0000022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납치된 후 평양에서 돌아온 레바논 여성들은 레바논 언론에 자신들은 프랑스 여성 3명, 이탈리아 여성 3명, 네덜란드 여성 2명을 포함한 28명의 외국인 여성들과 함께 수용소에 감금 당했었다고 말했다. 이 여성들 중에는 유럽과 중동 출신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P0000021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납치된 후 평양에서 돌아온 레바논 여성들은 레바논 언론에 자신들은 프랑스 여성 3명, 이탈리아 여성 3명, 네덜란드 여성 2명을 포함한 28명의 외국인 여성들과 함께 수용소에 감금 당했었다고 말했다. 이 여성들 중에는 유럽과 중동 출신 여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P000020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시함 슈라이테와 세 명의 레바논 여성들은 일본 전자제품 제조 업체의 비서직을 제안받았다. 그들은 비행기를 타고 아테네, 베오그라드, 그리고 모스코바를 거쳐 평양에 도착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P0000019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시함 슈라이테와 세 명의 레바논 여성들은 일본 전자제품 제조 업체의 비서직을 제안받았다. 그들은 비행기를 타고 아테네, 베오그라드, 그리고 모스코바를 거쳐 평양에 도착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불명 FP0000018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시함 슈라이테와 세 명의 레바논 여성들은 일본 전자제품 제조 업체의 비서직을 제안받았다. 그들은 비행기를 타고 아테네, 베오그라드, 그리고 모스코바를 거쳐 평양에 도착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시함 슈라이테 FP0000017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시함 슈라이테와 세 명의 레바논 여성들은 일본 전자제품 제조 업체의 비서직을 제안받았다. 그들은 비행기를 타고 아테네, 베오그라드, 그리고 모스코바를 거쳐 평양에 도착했다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소모이춘 F0000016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아노차 판조이를 속였던 일본인 관광객이 소모이춘과 홍링잉의 실종에도 큰 기여를 함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다이아나 응 금 FP0000014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일본인이라고 주장하는 두 남자는 파티에 보낼 다섯 명의 여성들을 보트에 태우기 위해 알선소에 의뢰함. 19세에서 24세 사이였던 다섯명의 여성은 사라졌고, 보트의 모습은 다시는 볼 수 없었음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마가렛 옹 구앗 추 FP0000013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일본인이라고 주장하는 두 남자는 파티에 보낼 다섯 명의 여성들을 보트에 태우기 위해 알선소에 의뢰함. 19세에서 24세 사이였던 다섯명의 여성은 사라졌고, 보트의 모습은 다시는 볼 수 없었음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얍 메 렝 F0000012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일본인이라고 주장하는 두 남자는 파티에 보낼 다섯 명의 여성들을 보트에 태우기 위해 알선소에 의뢰함. 19세에서 24세 사이였던 다섯명의 여성은 사라졌고, 보트의 모습은 다시는 볼 수 없었음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시토 타이 팀 F0000011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일본인이라고 주장하는 두 남자는 파티에 보낼 다섯 명의 여성들을 보트에 태우기 위해 알선소에 의뢰함. 19세에서 24세 사이였던 다섯명의 여성은 사라졌고, 보트의 모습은 다시는 볼 수 없었음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옝 요케 F0000010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일본인이라고 주장하는 두 남자는 파티에 보낼 다섯 명의 여성들을 보트에 태우기 위해 알선소에 의뢰함. 19세에서 24세 사이였던 다섯명의 여성은 사라졌고, 보트의 모습은 다시는 볼 수 없었음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도나 붐베아 F0000009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붐베아의 가족에 따르면, 한 이탈리아 남성이 붐베아에게 일본에서 전시회를 열 기회를 약속했다고 함. 그녀의 가족은 1978년 10월부터 그녀와 연락이 두절됨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아노차 판조이 F0000008
- 피해자 유형
- 그 외 외국인 피해자
- 실종 관련 설명
- 아노차는 1978년 5월 21일 아침에 일본인 관광 가이드를 자처한 남성이 보트 투어에 데려간다고 한 뒤 납치되었음. 인근 해변에서 그녀는 북한 요원들에 의해 강제로 보트에 태워졌다고 함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7일
그 외 외국인 피해자
서승근 C0096073 (UN WGEID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3 회 (2017년 9월 11일-15일)
- 설명
1950년 7월 대한민국 자택에서 북한 보위부원들에 의해 체포됐다고 전해짐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안종복 C0096059 (UN WGEID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3 회 (2017년 9월 11일-15일)
- 설명
1950년 7월 말 대한민국 자택에서 조선인민군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전해짐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김진형 C0096058 (UN WGEID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5 회 (2018년 4월 23일-5월 2일)
- 설명
1950년 7월 20일 하장국민학교에서 공산주의 반란군에 의해 납치된 뒤 북한 하장 경찰서로 이송됐다고 전해짐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김장열 C0096046 (UN WGEID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5 회 (2018년 4월 23일-5월 2일)
- 설명
1950년 7월 13일 서울 마포구 원효로3가 거리에서 북한 보위부원들에 의한 체포 추정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이재관 C0096045 (UN WGEID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2 회 (2017년 5월 8일-17일)
- 설명
1950년 7월 직장에서 내무성 요원에 의한 체포 추정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김재봉 C0096040 (UN WGEID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2 회 (2017년 5월 8일-17일)
- 설명
1950년 8월 20일 북한군인들에 의한 납치 추정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이홍규 C0096035 (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4 회 (2018년 2월 5일-9일)
- 설명
1950년 9월 26일 서울 성북구 돈암동 56-2 자택에서 무장한 북한 경찰에 의한 납치 추정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안호철 C0096031 (UN WGEID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3 회 (2017년 9월 11일-15일)
- 설명
1950년 8월 17일 대한민국 자택에서 북한군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전해짐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이각의 C0096022 (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3 회 (2017년 9월 11일-15일)
- 설명
1950년 12월 대한민국 자택에서 북한 요원들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전해짐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최진 C0020587 (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3 회 (2017년 9월 11일-15일)
- 설명
1950년 7월 서울 자택에서 조선인민군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전해짐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이기설 C0096033 (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6 회 (2018년 9월 10일-14일)
- 설명
1950년 8월 자택에서 내무부 요원들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전해짐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양치헌 C0096048 (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)
- 기관
- UN 강제적•비자발적 실종 실무그룹 (WGEID)
- 회기
- 제 119 회 (2019년 9월 16일-20일)
- 설명
1950년 7월 5일 경기도 포천군에서 남로당 당원들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전해짐.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구제절차
박화영 D0000177
- 성명 (한글)
- 박화영
- 피해자 유형
- 북한 내 실종자
- 실종 관련 설명
- 함경북도 무산군에서 북한 보위원들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전해짐
- 추가한 날짜
- 2024년 3월 20일
북한 피해자